(2023.05.28) 개발을 하다보면 코드에서 공백을 만들 일이 있다. 이것을 css에서 처리하는 방식이 white-space이다.
문법은 있는 그대로 배우면 된다. 그래서 여기 정리해두고 나중에 까먹으면 다시 들춰보려 한다.
white-space: normal | nowrap | pre | pre-wrap | pre-line
normal이 기본값이다.
속성값별로 세가지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
속성값 |
코드에서 공백(스페이스 또는 탭) |
코드에서 줄바꿈 |
화면에서 자동 줄바꿈 |
normal |
병합 |
병합 |
O |
nowrap |
병합 |
병합 |
X |
pre |
보존 |
보존 |
X |
pre-wrap |
보존 |
보존 |
O |
pre-line |
병합 |
보존 |
O |
두번째 '코드상 줄바꿈'은 코드에서 줄바꿈이 되었을 때 화면에서 어떻게 처리하느냐이다.
병합은 1개의 공백으로 바꾸는 것이며 보존은 있는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다.
세번째 '화면에서 자동 줄바꿈'은 내용이 영역을 벗어날때 처리방법이다. 그래서 X이면 가로스크롤이 생긴다.
외우지 말고 내용을 이해하자.
잘 찾아서 쓰자.